양 미 나 / M I N A Y A N G
![]() 사이공간1, 90.9 x 72.7 cm. pen, acrylic on canvas, 2014 | ![]() 사이공간2, 90.9 x 72.7 cm. pen, acrylic on canvas, 2014 | ![]() 사이공간7,130.3x97.0cm.pen, acrylic on canvas, 2015 |
---|---|---|
![]() 사이공간8, 130.3 x 89.4 cm. pen, acrylic on canvas, 2015 | ![]() 사이공간10, 162.2 x 130.3 cm. pen, acrylic on canvas, 2015 | ![]() 사이공간12, 145.5 x 112.2 cm. pen, acrylic on canvas, 2015 |
![]() 사이공간13, 116.7 x 91 cm. pen, acrylic on canvas, 2015 | ![]() 사이공간14, 116.7 x 91 cm. pen, acrylic on canvas, 2015 | ![]() 사이공간15, 116.7 x 91 cm. pen, acrylic on canvas, 2015 |
![]() 사이공간16, 90.9 x 72.7 cm. pen, acrylic on canvas, 2015 | ![]() 사이공간19, 72.7 x 90.9 cm. charcoal, pen, acrylic on canvas, 2016 | ![]() 사이공간20, 72.7 x 100 cm. charcoal, pen, acrylic on canvas, 2016 |
![]() 사이공간21, 163 x 326 cm. charcoal, pen, acrylic on canvas, 2016 | ![]() 사이공간22, 72.7 x 100 cm. pen, acrylic on canvas, 2016 |
'사 이 공 간'
매일 악몽에 잠을 설치던 어느 날, 나는 꿈을 꾸다 바람에 블라인드가 부딪히는 소리에 깨고, 꿈을 꾸며 느끼고 보았던 환영과 소리가 이어져 실재의 풍경과 혼재되어 혼란을 느꼈다. 나는 당시 의식과 무의식 공간 사이에 머무름을 경험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꿈과 현실 사이에서 이미지의 충돌은, 주체와 객체의 구분 없는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 머무르게 했고, 꿈속의 ‘나’를 마주 보게 되었을 때, 깨닫게 되는 현실과 환영의 차이는 존재에 대한 의구심이 들게 했다. 작품 ‘사이공간'은 이러한 경험에서 부터 출발한다.
작품 속 침대는 나에게 은밀하고 솔직할 수 있는 장소이다. 하지만 그 공간에서 조차 나는 알 수 없는 두려움을 느꼈다. 나는 혼자이고 싶었지만, 혼자 남겨지는 것이 싫었다. 드러내고 싶지만, 들키긴 싫었다. 스스로 일기를 쓸 때조차 의식적으로 구체적인 감정을 숨기는 것은 본인의 감정을 외면하는 습관으로부터 나온 듯하다. 내면을 드러낸다는 것은 항상 불편하다고 느낀다. 그렇기 때문에 내면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숨겨 버린다. ‘사이공간’ 작품 안에서 나는 그러한 현상들을 나타낸다.
기억하고 싶지 않은 개인적 감정과 잊힌 기억들은 불쑥 떠오른다. 마치 내가 머리를 흔들거나 혼잣말을 하는 의식적인 행동을 통해 억누르듯, 작품 안에서 드러내고 덮는 행위를 반복한다.
Every night, I suffer from nightmares. One day, I woke up to the sounds of blinds hitting the window. The images from my dream were still continuing and it started to overlap with the reality. The sound and the image were all jumbled up together, in a way that was unexplainable or comprehensible. That moment, I felt that I’ve been at the space between the consciousness and the sub-consciousness. I questioned the very existence of self, when I faced myself in my own dream, that I cannot tell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My ongoing series of ‘Between Space’ started with this notion.
The bed, in my works, is a place where it is cover and be honest with myself. However, even in that place of comfort, I feel an unexplainable fear. I desire to be alone, but I did not want to be left alone. In a similar remark, I want to expose, but did not want to be discovered. My old habit of avoiding my own feelings are reflected even in my diaries; I consciously hide my true feelings. I find it uncomfortable to expose my inner side. Hence, I expose and then quickly hide away. Works of “Between Space” reflects the such phenomena.
My private and forgotten memories rise up when they are most unexpected. I repeat the process of exposure and hiding, like when I try to suppress those memories through conscious act of shaking my head or murmuring.
(‘사이공간’ / 양미나 / 작가노트 중)
(Artist statement / Mina Yang)
Artist 양 미 나 / M I N A Y A N G
학력
2014 국민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재학
전시
2015 EXCHANGE STROKE PAINTING, 쾌연재도자미술관, 강원도
2015 성북동기(城北同期), 성북문화재단 성북예술창작터, 서울
2014 초동전, 겸재정선 미술관 , 서울
2014 BLOOMING, SpaceWomb Contemporary Art Gallery, 뉴욕, 미국
2013 Greet Each Other, 이즈하라 교류센터 초대전 , 이즈하라, 일본
2013 현대적 살롱전 복합문화행사 초대전, 신사동 재즈마스 갤러리 , 서울
2012 ASYAF 2012 ,문화역서울 284(구 서울역사), 서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