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 훈 KIM JI HUN
![]() 환절기1matt paper on canvas, 76.2cm x 76.2cm, 2015 | ![]() 환절기2matt paper on canvas, 35.56cm x 35.56cm, 2015 | ![]() 환절기3matt paper on canvas, 35.56cm x 35.56cm, 2015 |
---|---|---|
![]() 환절기4matt paper on canvas, 35.56cm x 35.56cm, 2015 | ![]() 환절기5matt paper on canvas, 76.2cm x 76.2cm, 2015 | ![]() 환절기6matt paper on canvas, 35.56cm x 35.56cm, 2015 |
![]() 환절기7matt paper on canvas, 35.56cm x 35.56cm, 2015 | ![]() 환절기8matt paper on canvas, 35.56cm x 35.56cm, 2015 | ![]() 환절기9matt paper on canvas, 35.56cm x 35.56cm, 2015 |
![]() calm do not plan1art paper on diasec, 60.1cm x 41cm, 2014 | ![]() calm do not plan2art paper on diasec, 60.1cm x 41cm, 2014 | ![]() calm do not plan3art paper on diasec, 60.1cm x 41cm, 2014 |
![]() calm do not plan4art paper on diasec, 60.1cm x 41cm, 2014 | ![]() calm do not plan5art paper on diasec, 60.1cm x 41cm, 2014 | ![]() calm do not plan6art paper on diasec, 60.1cm x 41cm, 2014 |
![]() calm do not plan7art paper on diasec, 60.1cm x 41cm, 2014 | ![]() 마른기억1semidull paper on white wooden frame, 76.2cm x 50.8cm, 2014 | ![]() 마른기억2semidull paper on white wooden frame, 76.2cm x 50.8cm, 2014 |
![]() 마른기억3semidull paper on white wooden frame, 76.2cm x 50.8cm, 2014 | ![]() 마른기억4semidull paper on white wooden frame, 76.2cm x 50.8cm, 2014 | ![]() 마른기억5semidull paper on white wooden frame, 76.2cm x 50.8cm, 2014 |
![]() 마른기억6semidull paper on white wooden frame, 76.2cm x 50.8cm, 2014 | ![]() 마른기억7semidull paper on white wooden frame, 76.2cm x 50.8cm, 2014 |
[환 절 기]
내가 겪고 있는 청춘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청춘은 편안함과 불안함을 동시에 느끼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가족, 친구들이 함께하는 현재의 편안함과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함이 공존하기 때문이다. ‘청춘’의 사전적 의미는 ‘푸른 봄’ 이다. 그렇기에 청춘은 가장 따뜻한 계절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다가올 계절에 대한 불안함도 가지고 있다. <환절기> 라는 제목을 선택한 이유이기도 하다. ‘어머니’를 상징하는 자연을 배경으로 하여 인물이 등장한다. 사진속의 인물은 시선을 카메라에 두지 않는다. 배경과 인물의 시선을 통해 편안함 혹은 따뜻함, 불안함의 사이를 표현하고 싶었다. 사진 속의 인물은 지금의 ‘나’ 일수도 있고, 나와 같은 시기를 겪고 있는 또 다른 누군가가 될 수도 있다. 그 모습들은 어머니의 품에 안겨 있기도, 떨어져 있기도, 그리고 놓여있기도 한다. (작가노트/김지훈)
There is always one thing that I would love to talk about with you. ‘Cheong-Chun’, my youth in translation, is something that I’m getting through. In Korean dictionary, ‘Cheong-Chun’ means a spring with blue sky under which flowers bloom. On one hand, ‘Cheong-Chun’, in terms of period, is a very unstable moment because of the unknown future that I soon will face.On the other hand, ‘Cheong-Chun’ always comforts me with my beloved family and friends that I can lean on whenever I need.Having stood up in between two statuses unstable and comfort, I felt that I’m at the right middle of the change of season, and this has been chosen as my title.Nature gives birth to all living things on the earth, and this is why we call mother-nature.In my every single picture, there is a figure with dull eyes and he doesn’t look at the camera at all. I guess he would be facing the change of season that I’m facing with anxiety.By locating the model in the arms of mother-nature, I add a warm place like comfort-zone where I can go to, lean on, and cry out all day long.This series of works is just reflecting me and those who are concerning the coming unknown future.'
[calm do not plan]
우리는 사람이라는 같은 인격체지만 각자 개인마다 자라온 환경이나 변화에 따라 개인마다의 남다른 "감정" 이 있다고 생각한다. 나 또한 나만의 "이름 모를 감정" 이 있다. 이번 작업은 어떤 장소에 내가 있을 때 순간 느끼는 감정을 Self portrait로 작업 하였다. 작업을 하기전이나 작업을 할 때 음악을 많이 듣는 편이다. 이번 작업을 하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음악은 "3055"와 "Oceans, sand, trees" 였다. 음악이 나의 감정에 조금이나마 영향을 줬을 것 같기도 하다.아마 앞으로의 작업 또한 나의 "이름 모를 감정"을 찾는 작업이 될 것 이다.
I think we have the same character as human beings but we have different “Emotions” according to our environment and changes grew up. I also have “Nameless emotion”Regarding this work, I did what I felt when I was in some places as Self portrait. I listen to music a lot before working or when working. The music I listened to most while working was "3055" and "Oceans, sand, trees". The music seems to affect a little bit my emotions.The future work is to find “Nameless emotion”. (작가노트 / 김지훈)
[마른기억]
내 안에는 항상, 아주 잠시 떠오르는 마른 기억이 있다. 금세 잊혀지는 내 안의 기억들.나에게는 그저 스쳐 지나가는 감성, 혹은 감정의 한 조각일 수도 있지만 관객들에게는 그들만의 마른 기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일상의 공간 속에 담긴 '나' 의 마른 기억들, 그것들로부터 당신만의 잊혀졌던 감정의 한 조각을 느꼈으면 좋겠다. 사진의 의미와 이유들로 내 사진을 포장하고 싶지 않다. 어려울 수도 있지만 나의 짧은 순간의 감정들로 프레임을 채우고 싶다. 그 프레임 안에서 느끼는 다른 사람들의 감정들은 모두 '나' 로 부터 나왔으면 좋겠다. (작가노트/김지훈)
I always have dry memory coming into my mind for a moment. My memory to be forgotten soon. It may be a piece of my emotions or feelings passing me by but be dry memory to audience.I hope you feel a piece of the emotions forgotten from “my”’s dry memory contained in the space of everyday lifeI don’t like to wrap my photos with their meanings and reasons. It may be difficult, but I’d like to fill the frame with my emotions for a moment.I want that all the emotions of other people feeling in the frame come from “me”.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김 지 훈 KIM JI HUN
경성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YOUNG ARTIST CREATIVE, 신진 정예작가 15人’, Ew gallery, 서울 2015
'대구 비엔날레, 국제 젊은 사진가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4
'바라보다', 경성대학교, 부산 2014
'막이 내리고', 경성대학교, 부산 2012
'경성제전', 경성대학교, 부산 2012